• 최종편집 2025-06-20(금)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초대형 산불이 주불 진화에 성공했지만, 안동·청송·영양 등지에서 잔불이 재발하며 긴장이 계속되고 있다.

산불상황도산림청.jpg

    [경북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61임 산불 상황도 (2025-03-22 11:24:14 발생/ 2025-03-28 17:00:00 기준) 사진=산림청]

 

지난 322일 경북 의성군 안평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28일 오후 주불 진화가 완료되었다. 산림당국은 헬기 88대와 인력 3,000여 명을 투입해 진화 작업을 벌였으며, 강풍과 건조한 날씨 속에서 어려운 싸움을 이어갔다. 그러나 잔불이 안동 남후면, 청송 양수발전소 인근, 영양 석보면 등지에서 재발하며 추가적인 대응이 필요해졌다.

 

이번 산불은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피해를 기록했다. 산불 영향 구역은 약 45,157헥타르로 서울 면적의 약 75%에 달한다. 경북 지역에서만 사망자 24, 부상자 43명이 발생했으며, 주택과 시설물 피해는 4,600여 곳에 이른다. 이재민은 약 36,000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현재도 체육관 등 대피소에서 생활하는 주민이 6,285명에 달한다.

 

다행히 문화재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은 피해를 입지 않았다. 하지만 대규모 산림과 민가가 소실되며 지역 경제와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산불의 발화 원인은 성묘객의 실화로 추정된다. 경찰은 의성군 괴산리 야산 묘지에서 시작된 불길과 관련하여 용의자인 50대 남성을 조사 중이다. 전문가들은 초기 대응 실패와 기상 악조건이 맞물려 피해가 커졌다고 평가하며, 예방 교육 및 법적 규제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림청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기후 변화와 강풍 등 복합적 요인이 대형 산불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하며, 향후 대책 마련을 예고했다.

 

한편, 잔불 진화를 위해 헬기와 지상 인력을 지속적으로 투입하고 있으며, 완전 진화까지는 최소 며칠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경북도는 잔불 감시 체계를 강화하고 추가적인 재발 방지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8372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의성 산불 주불 진화, 잔불 재발로 긴장 지속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