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6-20(금)
 

전북 무주에서 또다시 과수화상병이 고개를 들었다. 이번엔 남부권 사과 주산지까지 위협하고 있어 농가들의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

사본 -사본 -과수화상병0.jpg

                                                                  [과수화상병 의심증상 사진=농진청]

 

지난14일, 전북 무주군의 한 사과농가(0.3)에서 과수화상병 발생이 공식 확인됐다고 농촌진흥청이 발표했다. 올해 들어 충북 충주와 충남 천안에 이어 세 번째 발생지역이다. 농진청은 지난 13일 충주 사과 과수원과 천안 배 과수원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을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무주는 전북 최대 사과 산지다. 무풍면을 중심으로 한 주요 재배지역에서 감염이 확인되면서 지역 농가들에게는 비상이 걸렸다. 무주군 전체 사과 재배면적만 800에 달한다. 올해 5월까지 전국 5개 농가 총 2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상황이다.


과수화상병은 사과와 배 같은 장미과 식물을 노리는 무서운 세균병이다. 한번 감염되면 잎과 꽃, 가지와 줄기, 심지어 과일까지 불에 탄 것처럼 검게 변하며 말라 죽는다. 치료제도 방제약도 없다. 감염된 과수는 뿌리째 뽑아 땅에 묻는 수밖에 없고, 해당 농가는 폐원 조치를 받는다.

 

올해 기상 조건도 심상치 않다. 1~4월 무주 지역 평균 기온은 6.2로 평년보다 2나 높았고, 강수량도 279.2로 예년보다 91.5많았다. 과수화상병이 전국적으로 대확산했던 2020년과 비슷한 패턴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작년부터 올해 4월까지의 기상 분석 결과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사과·배 재배 농가는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의심 증상을 발견하면 즉시 농업기술센터나 신고 전화(1833-8572)로 연락해달라"고 당부했다.


과수화상병은 2015년 국내에 첫 발을 들인 이후 누적 피해 면적이 600를 넘어섰다. 그동안 충북 충주 등 중부권 사과 주산지가 주요 피해지역이었는데, 최근 들어 남부권까지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확산 차단을 위해 동절기 궤양 제거, 적기 약제 살포, 농가 방제수칙 홍보 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 기상 여건과 방역 당국의 대응 속도에 따라 추가 확산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농진청은 정밀 진단키트 도입 등 사전 예방 중심의 집중 방역 체제로 전환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농가들의 불안은 여전하다. 한번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것이 과수화상병의 무서운 점이기 때문이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54633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무주 사과밭에 또 '검은 죽음'…남부권 확산 비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